헨레 출판사
난이도
G. Henle 출판사 피아노곡의 난이도
레벨 | 난이도 | 예시 |
---|---|---|
1 | 하 | Bach,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nos. 4 and 5 |
2 | Bach, Well-Tempered Clavier I, no. 1 Prelude C major | |
3 | Beethoven, Piano Sonatas op. 49,1 and 2 | |
4 | 중 | Grieg, Lyric Pieces op. 12, no. 4 |
5 | Schumann, Fantasy Pieces op. 12, no. 1 | |
6 | Chopin, Nocturnes op. 27, nos. 1 and 2 | |
7 | 상 | Beethoven, Piano Sonata op. 10, no. 3 |
8 | Beethoven, Piano Sonata op. 81a | |
9 | Schumann, Toccata op. 7 |
난이도 가이드
“‘어렵다’는 게 무슨 뜻입니까? 연주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것입니다.” –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인 Nathan Milstein은 믿을 수 없을 만큼 어려운 니콜로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op. 1에 대한 질문에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했습니다.
이로써 분명해지는 것은 음악에서의 “난이도”는 상대적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많은 동료들과 제 경험을 통해 이런 가이드가 얼마나 유용한지 알기 때문에, G. Henle 출판사에서 이런 큰 도전을 제시했을 때 이를 흔쾌히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적절한” 작품을 찾고자 할 땐 더욱 그렇죠. 이런 가이드는 초보자부터 대학 준비반까지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을 지도하는 악기 지도교사뿐만 아니라 모든 관심 있는 비전문가들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저는 신중하게 고려한 끝에 난이도를 9 레벨로 세분화된 세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1–3 (난이도 하), 4–6 (난이도 중), 7–9 (난이도 상). 난이도를 평가할 때 가능한 한 많은 매개변수를 고려했습니다. 단순히 빠르거나 느리게 연주하는 음표나 코드 진행의 개수로 이를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중점적으로 봤던 것은 작곡의 복잡성, 리듬의 복잡성, 처음 악보 리딩 시의 어려움 그리고 곡의 음악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쉽거나 어려운가 였습니다. 더불어 소나타 또는 연곡 (Cycle)의 음악 단위를 “곡”으로 정의하여, 예를 들어 바흐의 Well-Tempered Clavier I권에는 총 48개의 난이도가 있지만 (전주곡과 푸가를 각각 분리) 슈만의 fis-moll-Sonate op. 11에는 난이도가 하나뿐입니다. 평가의 기준은 작품을 노련하게 연주할 수 있느냐에 두었습니다.
미술과 음악에 대한 평가는 높은 객관적 기준을 세운다 해도 항상 주관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음에도 평가 결과에는 충분히 이론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언제라도 제안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 Rolf Koenen © 2010